산업부, 올해 100개 이상 AI 활용 기술개발(R&D) 과제 지원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산업·에너지 분야에서 100개 이상의 인공지능(AI) 활용 기술개발 과제를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산업부 장관 주재 민관합동 산업디지털전환위원회에서 발표한 'AI + R&DI 추진전략'의 후속조치로, AI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산업부의 AI 기술개발 지원에 대한 상세 내용과 중요성을 알아보겠습니다.

산업기술개발 현장에서의 AI 수요

산업부는 두 차례에 걸쳐 6주 동안 수요조사를 실시했는데, 로봇, 반도체, 디스플레이, 신재생 등 13개 산업 분야에서 881건에 이르는 AI 활용 기술개발 수요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부는 수요과제 74개를 1차 공고하고 상반기 내에 30개 이상의 추가적인 수요과제를 공고할 계획이며, '연구용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신규사업 예산을 통해 지원할 예정입니다.

중요 포인트
  • 로봇,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13개 산업 분야에서 881건의 AI 활용 기술개발 수요 확인
  • '연구용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통해 다양한 산업 기술개발 분야에 활용 가능한 AI 모델 지원

자율실험실과 Tech-GPT

AI와 로봇 공학을 활용한 '기업 공통활용 자율실험실'을 도입하여 실험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시범사업을 상반기 내에 시작할 예정입니다. 또한 'Tech-GPT'를 통해 전 세계 기업, 기술, 인재를 AI로 탐색하고 연결하는 시범 테스트를 진행하며, 기술정보 무료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중요 포인트
  • '기업 공통활용 자율실험실'을 통해 자동 실험 수행을 위한 시범사업 시작 예정
  • 'Tech-GPT'를 통해 기술정보 무료 분석 서비스 제공 및 협력 기업 탐색

R&D 전문기관의 고도화

정부는 R&D 참여기업 편의성과 행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R&D전문기관의 연구행정 고도화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하고 시스템 개발을 시작하여 2028년까지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AI를 활용한 기술혁신이 산업 전반에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중요 포인트
  • R&D 전문기관의 고도화를 통해 행정 효율성 향상 및 AI 기술혁신 촉진
  • 정부의 과감한 투자와 지원으로 AI 기술의 확산 지원

정리

산업통상자원부의 AI 활용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혁신과 발전이 기대됩니다. '연구용 AI 파운데이션 모델'과 자율실험실, Tech-GPT 등을 활용하여 산업기술의 발전을 촉진하고 R&D 전문기관의 고도화를 통해 혁신적인 결과를 이루어내기를 기대합니다.

실천 방안
  • 산업부의 AI 활용 기술개발 지원 프로그램 참여
  • 기업 내부에서 AI 기술 활용을 고려한 연구 및 개발 활동 실시

AI 기술의 발전은 산업 전반에 혁신을 가져다주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이 필요함을 명심해야 합니다.